gtag('config', 'G-5KSRMZ4HV7'); SK스퀘어 주가 전망 - 메타버스, NFT, 가상화폐 코인

주식

SK스퀘어 주가 전망 - 메타버스, NFT, 가상화폐 코인

Spolove 2021. 12. 4. 23:59

지난 2021년 11월 SK텔레콤에서 인적분할을 통해 상장된 SK 그룹의 중간 지주회사인 SK스퀘어의 최근 동향과 사업계획, 앞으로의 비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Table of Contents
1 SK스퀘어 사업영역, 지배구조, 주요 투자지분 현황
2 최근 동향
3 주가현황 및 투자포트폴리오
4 향후 전망

SK스퀘어 사업영역, 지배구조, 주요 투자지분 현황

 

통신업 규제 등에 의해 여러 가지 사업 확장 등에 어려움이 있는 점을 보완하고자 지난 11월 29일 SK텔레콤은 비통신 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코스피에 상장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SK텔레콤은 5:1 액면분할을 실행하기도 했습니다. SK스퀘어는 반도체, 정보통신기술(ICT)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투자형 지주사로 SK하이닉스, ADT캡스, 11번가, 원스토어, 드림어스 컴퍼니, 콘텐츠 웨이브, 티맵 모빌리티 등 다양한 ICT 분야의 자회사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K스퀘어 분할 후 (주)SK 지배구조

SK-그룹-지배구조도
SK스퀘어 분할 후 SK그룹 지배구조

SK스퀘어 주요 지분율 보유 현황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 지분율
SK하이닉스 20.1%
11번가 80.3%
SK쉴더스 62.6%
티맵모빌리티 66.3%
SK플래닛 98.7%
원스토어 47.5%
콘텐츠웨이브 36.4%

 

최근 동향

 

SK텔레콤에서 분할한 후 SK스퀘어가 선택한 첫 투자처는 국내 암호화폐 4대 거래소 중 하나인 '코빗'과 3D 디지털 휴먼 제작 기술을 보유한 '온마인드'였습니다. SK스퀘어는 코빗에 약 900억 원, 온마인드에 80억 원을 투자하여 각 35%와 40%의 지분을 인수하였습니다. ICT 플랫폼 중심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그리고 있는 SK스퀘어의 이러한 움직임은 NFT 거래, DeFI 등의 서비스를 준비하고 SK텔레콤이 보유한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와 연계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업계에서는 이프랜드에 대한 독자 코인 제작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가 현황 및 투자 포트폴리오

 

SK-스퀘어-상장-후-주가-차트
SK스퀘어 주가 차트

 

시장의 기대와는 다르게 SK스퀘어의 주가는 상장 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대 거래소이긴 하지만 점유율이 1%도 안 되는 코빗 투자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문, 오미크론 쇼크로 인한 시장 전체의 침체국면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기존 SK텔레콤에 대한 배당 목적 투자자들의 지분 매각, 약 6,000억 원 규모의 ADR(미국 주식예탁증서) 투자자들의 매물 출회 예상이 주가에는 단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SK스퀘어-투자자산비중
SK스퀘어 투자자산포트폴리오 (AUM)

 

반도체 대표기업 SK하이닉스의 투자 비중이 가장 크며, 내년 상장 예정인 원스토어와 SK쉴더스, 아마존과의 제휴를 통해 성장 중인 오픈마켓인 11번가 등에 대한 투자가 눈에 띕니다. 

 

향후 전망

 

SK텔레콤의 분할 공시 당시 증권가는 SK스퀘어의 시가총액을 12조 원으로 예상할 정도로 기대가 높았습니다. 실제로 20%가량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이 22조 원 수준이며, 원스토어, SK쉴더스(ADT캡스), 웨이브, 11번가 등 자회사들이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측면입니다. 아직은 상장 초기로 목표주가가 제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증권가에서는 대체적으로 SK스퀘어의 향후 주가를 긍정적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SK스퀘어는 그동안 SK텔레콤이 성장시켰던 비통신 사업을 IPO를 통해 한 단계 더 성장시킴과 동시에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를 비롯해 SK쉴더스, 11번가, 원스토어, 드림어스 컴퍼니, 콘텐츠 웨이브, 티맵 모빌리티, 인크로스, 나노엔텍 등 보유 자산의 가치를 24조 원으로 예상하며, 지주회사 순자산가치(NAV) 대비 50% 할인을 적용하더라도 전체 기업가치는 12조 원 이상 가능할 것이다.
(NH투자증권 안재민 연구원)
SK스퀘어로의 강한 수급 쏠림현상 및 주가 상승을 전망한다. 기준 시총 8조 7500억 원은 동사 NAV(순가치 자산) 대비 64% 극도의 저평가 상태로 판단되고 네이버, 카카오 외 플랫폼 투자대상에 동사가 매력적인 대안으로 급부상할 가능성이 있다
(현대차증권 김현용 연구원)